반응형

오늘은 강제규 감독이 만들어 큰 화제를 모았던 영화 <1947 보스톤>의 줄거리, 마라톤 역사에서 길이길이 기억될 외국인 2인의 이야기, 일장기를 없애고 기사를 내 감옥에 갇혔던 용감한 이길용 기자에 대해 함께 나눠보고자 한다. 이 영화는 1947년 보스톤 마라톤에 출전하여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한 서윤복 선수에 관한 이야기로 감동이 넘치는 작품이다.  

1947 보스톤
1947 보스톤

1. 줄거리: 실화 배경의 이야기

영화 <1947 보스톤>은 일제 강점기 시절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조차 내걸고 달릴 수 없었던 베를린 올림픽에서의 설욕을 씻고자 우리나라 최초고 태극 마크를 달고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출전한 서윤복 선수에 관한 실화를 담아낸 이야기이다. 처음 영화를 접했을 때 당연히 손기정 선수의 이야기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제목에서 말한 숫자 1947년은 광복 이후의 사건을 말하기 때문에 손기정 선수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줄거리를 함께 살펴보자. 서윤복(임시완)은 어린 시절부터 손기정 선수를 롤모델로 삼고 마라톤을 해오던 꿈나무였다. 그러나 가정 형편이 지독히도 좋지 않았던 서윤복은 달리기를 포기하고 돈벌이를 선택하기로 하는데, 하늘이 도왔는지 한국 마라톤계의 전설 손기정 선수가 서윤복을 국가대표로 발굴하게 된다. 손기정 선수는 남승룡 선수와 함께 서윤복을 훈련시키고 1947년 개최되는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출전하게 한다. 그런데 출천도 하기 전부터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데, 당시 난민국 지위였던 우리나라는 막대한 보증금이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현지에 거주하는 재정 보증인도 필요했다. 우여곡절 끝에 보스톤에 겨우 도착했는데 이번에는 우리나라가 미국 군정 하에 있기 때문에 가슴팍에 성조기를 달고 뛰어야 한다는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끝끝내 서윤복 선수는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서 일장기도 성조기도 아닌 자랑스러운 태극 마크를 가슴팍에 달고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며 우승을 거 뭐 진다.

2. 우리나라 역사의 산 증인, 일장기를 없앤 이길용 기자

<보스톤 1947>에서는 배우 최규환이 이길용 기자의 역할을 맡았는데 이길용 기자는 우리가 실제 학교 역사 시간에 배워왔던 실존 인물이다. 이길용 기자는 우리나라 최초의 체육 전문 기자였다. 이길용 기자는 무슨 용기인지 일제 강점기 당시 언론을 철저히 통제하던 시기에 자신의 사회적 지위나 신변이 위태로워질 줄 알면서도 1938년 베를린 올림픽에 출전해 마라톤 결승선을 통과하는 손기정 선수의 모습을 찍은 후 가슴팍에 달려있던 일장기를 없애고 기사를 내버린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그가 이미 1932년 LA올림픽에 출전했던 김은배 선수와 권태하 선수의 가슴팍에 달고 있던 일장기를 없애버리고 손기정 선수와 똑같이 기사를 보도했었다는 점이다. '최초'라는 타이틀이 아깝지도 않았는지 그는 거의 독립투사와 가까운 놀라운 애국심을 발휘한다. 일제 통치하에 있으면서 사실 이러한 행동은 거의 자신의 목숨을 내놓은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당연히 언론을 엄격히 통제하고 검열까지 행했던 일본의 레이더망에 이길용 기자는 딱 걸리게 되고 동아일보 발간이 일시 중단되는 사태까지 벌어진다. 이후 그는 해고되고 어둡고 무서운 감옥에 갇혀 고초를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출전하는 우리나라 국가대표 선수들을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지원금 모금 관련 기사를 내려고 노력한다. 이렇게 깨어 있는 사람이 있었기에 지금의 대한민국이 잘 사는 나라가 된 것 같다는 감사한 생각이 들었다. 

3. 한국 마라톤 역사에 기억될 외국인 2인

한국 마라톤 역사에 길이길이 기억될 외국인 2인이 있다. 첫 번째 인물은 마음이 따뜻한 스메들리 여사다. 1947년 당시 스메들리 여사는 미국 군정청의 체육과 과장이었는데 어렵게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자 자신이 처음 받은 월급 600달러를 선수들에게 흔쾌히 내어준다. 그리고 이뿐만 아니라 우리 선수들의 어려운 상황을 미국 군 장교들에게 자세히 설명하고 간곡히 호소한 끝에 추가로 1500달러를 모아서 선수들에게 준다. 스메들리 여사를 보면 한국 사람보다 더 한국을 사랑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한국 마라톤 역사에 기억될 두 번째 외국인은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 선수와 함께 마라톤을 뛴 존 캘리 선수이다. 그는 1935년, 1945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서 두 번이나 우승하여 '보스톤의 살아있는 전설'로 불릴 만큼 전 세계적으로 아주 유명한 인물이다. 그런데 이 대단한 존 캘리 선수가 1938년 베를린 올림픽 때 손기정 선수의 운동화를 가지고 갈 정도로 손기정 선수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 그는 보스톤 마라톤 대회에 출전할 수 있도록 우리 선수들에게 초청장을 작성해 보내주었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은 '우리 이름'을 당당하게 걸고 최초로 국제 마라톤 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다. 이렇게 고마운 외국인 2인은 1947년 보스톤 마라톤 대회 뒤에 숨겨진 작은 영웅이라 할 수 있겠다.

반응형